VSCode와 WSL을 연동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.
VSCode에서 CMake 기반의 프로젝트를 만들고, 실행/디버깅 등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.
VSCode에서 C 언어 및 C++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실행/디버깅 등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.
요즘 개발자 사이에서 인기있는 코딩 툴. Visual Studio Code에 대해 살펴보고, 설치 및 기본 세팅 방법까지 알아봅니다.
이 글에서는 [WIN]+[TAB]키를 눌러 데스크톱 목록을 볼 때, 아래쪽에 타임라인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나는 활동 기록이 뜨지 않도록 없애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.
작업표시줄에서 아이콘을 우클릭할 때 뜨는 팝업이나, 시작메뉴의 점프목록 등에서 나타나는 최근 항목에 대한 기록을 없애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.
이 글에서는 WSL2를 설치한 뒤 X window(GUI)를 사용하기 위한 세팅 방법을 알아봅니다.
이 글에서는 WSL1을 설치한 뒤 X window(GUI)를 사용하기 위한 세팅 방법을 알아봅니다.
Windows를 설치하면, C:\Users\사용자이름 폴더에 다운로드, 사진, 문서, 동영상 등의 폴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폴더를 사용자 폴더 라고 합니다. 이 글에서는 사용자 폴더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.
C:\Users\사용자이름
MS Store를 통해 WSL을 다운받아 설치하게 되면, WSL이 설치되는 경로는 %LocalAppData%\Packages\[PackageName] 폴더 하위로 고정됩니다. 이 글에서는 Windows Subsystem for Linux를 기본 설치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.
%LocalAppData%\Packages\[PackageName]